상해마작 제17강 <현대 상해마작의 약(約) Ⅰ>
현대 상해마작의 약 점수(판수)

1. 1판 약
❶ 장(將, 장, jiāng)
화료 시 머리를 수패 2, 5, 8로 만든 경우입니다. 2, 5, 8 ‘대자(對子, 두이쯔, duì‧zi)’를 눈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현대 상해마작에서 1판 약은 이것 한 가지밖에 없습니다. 영어는 ‘Special Pair’ 또는 ‘Special Eye’라고 합니다.

2. 2판 약
❶ 문전청 영화(門前淸 榮和, 먼첸칭 룽허, mén qián qing róng he)
먼첸 상태에서 타가의 버림패를 가져와 화료하는 경우입니다. 즉 츠, 펑/깡을 하나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가의 패로 룽허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깡은 공개를 해도 먼첸을 유지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영어로는 ‘Mahjong(Winning) on a discard in concealed hand’라고 표현합니다. 한편 먼첸 상태에서 쯔모로 화료하는 문전청 자모화(門前淸 自摸和)는 5판입니다.
❷ 번패(翻牌, 판파이, fānpái), 삼원패(三元牌, 싼위안파이, sānyuánpái)
삼원패인 중발백(中發白) 패를 각각 3개(커쯔) 또는 4개(강쯔) 수집하고 화료하는 경우입니다. 펑/깡을 해도 유효합니다. 영어로는 ‘Dragon Pung’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같은 패 3개만 소유해도 약이 되는 패를 ‘번패’라고 합니다. 번패는 ‘권리패’ 또는 ‘자격패’라고도 합니다.

❸ 번패, 자풍패(自風牌, 쯔펑파이, zìfēngpái)
東南西北 방향패 중에서 자기 바람(자리), 즉 자풍(自風) 패 3개 이상을 가지고 화료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東家가 東 패, 西家가 西 패 3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먼첸 상태로 가지고 있거나 펑/깡을 해도 성립합니다. 자풍패를 펑/깡을 할 경우 되도록 대국의 초반에 하는 것이 여러 모로 유리합니다. 자풍패는 ‘문풍패(門風牌, 먼펑파이, ménfēngpái)’라고도 합니다. 영어는 ‘Seat Wind’입니다.

➍ 번패, 장풍패(莊風牌, 좡펑파이, zhuāngfēngpái)
東南西北 방향패 중에서 장(莊, 場) 바람에 해당하는 패, 즉 장풍(場風) 패 3개 이상을 가지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제1장 동장(東場) 16국에서 장(場) 바람은 東입니다. 마찬가지로 제2장 남장, 제3장 서장, 제4장 북장에서 장바람은 각각 南, 西, 北입니다. 먼첸 상태로 이 패들을 가지고 있거나 펑 또는 깡을 해서 이들을 획득해도 인정됩니다. 장풍패는 ‘권풍패(圈風牌, 취안펑파이, quānfēngpái)’라고도 합니다. 영어로는 ‘Round Wind’, ‘Prevalent Wind’, ‘Prevailing Wind’ 등으로 표현합니다.
장풍패와 자풍패가 겹치면 4판의 연풍패(連風牌, 롄펑파이, lián fēng pái)입니다. 동장 동풍전에서 동가, 남장 남풍전에서 남가, 서장 서풍전에서 서가, 북장 북풍전에서 북가 등 총 4번밖에 기회가 없는 희귀한 약입니다. 영어로는 ‘Double Winds’라고 합니다.
➎ 독청(獨聽, 두팅, dú tīng)
팅파이의 다섯 가지 기본형(제6강 참고 바로가기 클릭) 중에서 올림패가 오직 한 종류인 단치팅, 변짜방, 간짜방 팅파이 상태에서 화료한 경우입니다. 룽허도 인정됩니다.
이 세 가지 경우를 영어로는 ‘One Way to Win’이라고 통칭합니다. 단기팅이라고도 하는 단치팅은 ‘Single type of wait’ 또는 ‘Single wait’라고 합니다. 변짜방은 ‘Edge type of wait’ 또는 ‘Edge wait’, 간짜방은 ‘Closed type of wait’ 또는 ‘Closed wait’로 부릅니다.

➏ 일반고(一般高, 이반가오, yībān gāo)
먼첸 상태에서 동일한 순쯔 2개 조를 만들고 화료한 약입니다. 일반고의 경우 화료에 필요한 5판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단요구, 간짜방, 핑허, 결일문 등의 약을 처음부터 함께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고는 과거 상해마작의 ‘일색이순(一色二順)’, 일본 리치마작의 ‘이페코’와 같은 약입니다. 마작에서 ‘一色’은 같은 종류의 수패를 의미합니다. 영어는 ‘Pure Double Chows’입니다.

➐ 노소부(老少副, 라오사오푸, lăoshăo fù)
먼첸 상태에서 같은 종류의 수패로 ‘1 2 3’, ‘7 8 9’의 순쯔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변짜방, 핑허, 일반고, 일기통관 등의 약을 함께 노리는 것이 확률상 유리합니다. 영어는 ‘Two Terminal Chows’입니다.

➐ 결일문(缺一門, 췌이먼, quē yìmén)
한 종류의 수패 없이 화료한 경우입니다. 즉, 자패의 유무와 관계없이 두 종류의 수패만으로 패를 완성한 약입니다. 수패인 만자, 통자, 삭자 중에서 일문(一門)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츠, 펑/깡을 해도 인정되는 약이기 때문에 결일문이 확실한 경우는 삼원패 등 번패 약 하나와 1판 약인 ‘장’이 가능한 경우 적극적으로 츠, 펑/깡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약의 상위약이 자패와 한 종류의 수패로 패를 완성한 혼일색입니다. 결일문의 영어는 ‘One Voided Suit’입니다.

➑ 쌍암각(雙暗刻, 솽안커, shuāng ànkè)
먼첸 상태에서 수패로 안커 2개 조를 만들고 화료한 약입니다. 자패는 인정되지 않지만 두 쌍 중 하나가 안깡인 경우는 당연히 쌍암각이 인정됩니다. 두 쌍 모두 수패로 된 강쯔인 경우 3판 약인 양강(兩槓)입니다.
안커(暗刻)는 처음에 손패로 받았거나 쯔모로 만든 커쯔로, 펑 또는 깡으로 만든 밍커와 구분됩니다. 마작의 약에서 안커, 안깡처럼 ‘暗’이 들어간 명사의 경우 츠 또는 펑/깡을 하지 않고 스스로 만든 조합을 가리킵니다. 쌍암각은 영어로 ‘Two Concealed Pungs’라고 합니다.

➒ 단요구(斷幺九, 돤야오주, duànyāojiǔ)
자패 및 1, 9 수패 없이 2~8까지의 중장패로 화료한 경우입니다. 츠, 펑/깡을 해도 인정하지만 일부 로컬룰에서는 먼첸 상태만 인정하기도 합니다. 독청, 일반고, 결일문, 핑허 등의 약과 중복될 확률이 높습니다. 영어로는 ‘All Simples’라고 합니다.

➓ 평화(平和, 핑허, pínghé)
먼첸 상태에서 4개의 몐쯔(面子)를 모두 순쯔로 조합하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모든 형태의 팅파이에서도 성립하고 쯔모허, 룽허 모두 가능합니다. 양자방 상태에서만 핑허가 가능한 우리나라와 일본의 리치마작과는 달리 상해마작은 4개의 순쯔 조합을 먼저 만든 후 머리를 만들어도 됩니다. 단 머리는 삼원패, 장풍, 자풍 패로 만들 수 없습니다. 영어는 ‘All Chows’라고 합니다.

⓫ 영상개화(嶺上開花, 링상카이화, lǐngshàng kāi huā)
깡을 하고 영상패를 쯔모해 패를 화료하는 경우입니다. ‘깡올라’ 또는 ‘강상개화(杠上開花, 강상카이화, gāng shàng kāi huā)’라고도 합니다. 먼첸 상태에서 영상개화에 성공하면 먼첸 쯔모 5판을 포함해 최소 7판을 가볍게 확보할 수 있지만 먼첸이 깨진 상태에서는 간혹 5판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영어는 ‘Out on a supplement tile’ 또는 ‘Win on Kong’입니다.
3. 3판 약
❶ 창강화(搶杠和, 창강허, qiǎnggànghé)
타가가 바깥깡을 할 때 이 패를 쏘아 화료하는 약입니다. 다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 바깥깡을 한 사람이 타패한 이후에는 바깥깡을 쏠 수 없습니다. 타가가 바깥깡을 한 순간 자신의 손패가 5판 이상인지 헷갈리는 경우 잠시 대기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깥깡과는 달리 타가의 안깡은 어느 경우든 쏠 수 없습니다.
창강화는 우리나라에서는 창깡 또는 ‘깡쏘아’라고 하고 영어로는 ‘Robbing the Kong’ 또는 ‘Scratching a Carrying Pole’이라고 합니다. 창강화 등 3판 약의 경우 먼첸 상태만 유지해도 최저 점수인 5판을 가볍게 넘길 수 있습니다.

❷ 양강(兩槓, 량강, liǎng gàng)
수패로 깡 두 쌍을 가지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자패는 안 됩니다. 안깡과 바깥깡을 구분하지 않고 어느 깡이나 인정합니다. 영어는 ‘Two Kongs’ 또는 ‘Two Quadruplets’입니다.

❸ 해저모월(海底摸月, 하이디모웨, hǎidǐ mō yuè)
패산에 있는 마지막 패를 쯔모해 화료하는 약입니다. 해저모월은 “바다의 가장 밑바닥에 비친 달을 손으로 더듬는다.”는 의미입니다. ‘묘수회춘(妙手回春)’이라고도 합니다. 영어로는 ‘Last Tile Draw’ 또는 ‘Win by last draw’로 호칭합니다.
➍ 해저로월(海底撈月, 하이디라오웨, hǎidǐ lāo yuè)
패산에 있는 패들이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타가가 마지막으로 버린 패를 쏘아 화료하는 약입니다. 마지막으로 버린 패는 츠, 펑/깡을 할 수 없고 오직 화료만 가능합니다. 해저로월은 “바다의 밑바닥에 있는 달을 건져 올린다.”는 뜻입니다. 영어는 ‘Last Tile Claim’ 또는 ‘Win by last discard’입니다.
➎ 노소팽(老少碰, 라오사오펑, lăoshăo pèng)
먼첸 상태에서 같은 종류의 수패로 ‘1 1 1’과 ‘9 9 9’ 안커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영어는 ‘Two Terminal Triplets’입니다.

➏ 사귀일(四歸一, 쓰구이이, sì guī yī)
4개의 같은 패를 강쯔가 아닌 순쯔와 커쯔로 각각 사용해 화료한 약입니다. 예를 들면 ‘1만 1만 1만 1만’을 ‘1만 1만 1만’과 ‘1만 2만 3만’으로 나누어 조합한 경우입니다.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하지만 칠대자(七對子)와는 조합의 이치가 다르기 때문에 화료 시 칠대자와 같은 모양이 나와도 칠대자 판수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귀일은 영어로 ‘Tile Hog’라고 합니다.

➐ 화절장(和絕張, 후줴장, hú jué zhāng)
대국자 4인의 츠, 펑을 포함해 하(河)에 버려진 모든 패들 중 이미 3개의 패가 공개된 상태에서 마지막 남은 4번째의 패를 가져와 화료한 경우입니다. 먼첸이 깨져도 상관없고 쯔모허, 룽허 모두 인정됩니다. 일부 로컬룰은 안깡 후 영상패 또는 창깡으로 화료한 경우, 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화절장은 ‘절장(絕張)’이라고도 하고 영어로는 ‘Last Tile’이라고 합니다.
➑ 소삼풍(小三風, 샤오싼펑, xiǎo sānfēng)
동남서북 바람패로 머리와 2개의 커쯔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펑 또는 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단, 일부 지역에서는 소삼풍을 정식 약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영어는 ‘Small Three Winds’입니다.

➒ 삼색소동각(三色小同刻, 싼써샤오퉁커, sānsè xiǎo tóngkè)
세 종류의 수패로 같은 숫자의 커쯔 두 개와 머리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펑 또는 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단, 일부 지역에서는 삼색소동각을 정식 약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영어로는 ‘Small Three Similar Triplets’입니다.

마치며
현대 상해마작의 많은 약들 중에서 가장 화료하기 쉬운 1판에서 3판까지의 약들을 정리했습니다. 다음 18강은 중간 정도의 난이도를 가진 약들을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