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마작 제18강 <현대 상해마작의 약(約) Ⅱ>
4. 5판 약
❶ 불구인(不求人) / 문전청 자모화(門前淸 自摸和)
‘불구인(不求人, 부추런, bùqiúrén)’이라고도 하는 문전청 자모화(門前淸 自摸和, 먼첸칭 쯔모허, mén qián qing zì mō hé)는 먼첸 상태에서 쯔모로 화료한 경우입니다. 즉, 츠, 펑/깡을 하나도 하지 않고 화료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외적으로 안깡은 공개를 해도 먼첸을 유지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문전청 자모화는 줄여서 ‘먼첸 쯔모(門前 自摸)’ 또는 ‘문청불구(門淸不求)’라고도 합니다. ‘불구인(不求人)’은 “남에게 의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영어는 ‘Fully Concealed’ 또는 ‘Win on self-drawn in concealed hand’입니다.
5. 7판 약
❶ 청룡(淸龍) / 일기통관(一氣通貫)
일기통관(一氣通貫, 이치퉁관, yīqì tōngguàn)은 한 종류의 수패로 1부터 9까지 즉, 연속적인 순쯔 3개 조를 모으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츠,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일기통관은 일반고, 독청, 결일문, 혼일색 등의 약과 중복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하위 역인 노소부 점수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일기통관은 ‘청룡(淸龍, 칭룽, qing lóng)’ 또는 ‘일조룡(一條龍, 이탸오룽, yìtiáolóng)’이라고도 합니다. 마작에서 ‘청(淸)’은 조합의 형태에 따라 한 가지 종류의 수패 혹은 자패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조룡은 “용 한 마리”를 뜻합니다. 영어로는 ‘Pure Straight’입니다.

❷ 혼전대요(混全帶幺, 훈취안다이야오, hùn quán dài yao)
머리를 포함한 모든 조합에 요구패(노두패+자패)가 하나 이상 들어가 있는 약입니다. 모든 조합에 츠,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과거 상해마작의 전대요(全帶幺, 취안다이야오, quán dài yao), 리치마작의 ‘찬타’와 같은 약으로 ‘혼대요(混全帶)’라고도 합니다. 영어로는 ‘Outside Hand’, 또는 ‘Mixed Lesser Terminals’로 호칭합니다.

❸ 오문제(五門齊, 우먼치, wǔ mén qí)
머리와 4개의 몸 즉, 5개의 조합이 마작을 구성하는 다섯 종류의 패(만자, 통자, 삭자, 풍패, 삼원패)로 각각 완성된 경우입니다.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몸 7개 조합으로 구성된 칠대작의 경우 각기 다른 다섯 종류의 패가 있으면 나머지 2개 조합에 관계없이 오문제가 성립된 것으로 인정합니다. 영어는 ‘All Types’입니다.

➍ 삼색삼동순(三色三同順, 싼써싼퉁순, sānsè sāntóngshùn)
3종의 수패로 같은 숫자의 순쯔 3개 조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츠, 펑/깡 가능합니다. 일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삼색동순(三色同順, 싼써퉁순, sānsè tóngshùn)이라고도 합니다. 영어로는 ‘Mixed Triple Chow’라고 부릅니다.

➎ 일색삼동순(一色三同順, 이써싼퉁순, yísè sāntóngshùn)
한 종류의 수패로 동일한 순쯔 3개 조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일색삼순(一色三順, 이써싼순, yísè sānshùn)’이라고도 합니다. 영어는 ‘Pure Triple Chow’입니다.
일색삼동순은 상해마작에서는 정식 약이 아닌 ‘일색삼절고(一色三節高, 이써싼제가오, yísè sānjiégāo)’와 결과적으로 모양이 같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색삼동순은 순쯔의 조합이고, 일색삼절고는 커쯔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일색삼절고(一色三節高)의 ‘삼절고(三節高)’는 같은 종류의 수패가 3연속으로 연결된 커쯔를 말합니다.

➏ 초순입직(初巡立直) / 부지 입직(不知 立直) / 보청(報聽)
배패 후 첫바퀴에서 쯔모한 후 팅파이를 만들고 그 이후에 화료한 경우입니다. 東家는 14개의 패를 받은 후, 나머지 사람들은 첫쯔모 후 타패하면서 선언하면 됩니다. 단, 앞 순서에서 펑/깡이 발생해 순서가 바뀌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츠는 순서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초순입직을 선언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초순입직 선언이 가능한 것을 모르고 그냥 순서가 지나가면 다음 순서에서 이를 선언할 수 없고, 한 번 선언하면 화료할 때까지 절대 손패를 교체할 수 없습니다. 이를 어기면 반칙이 됩니다.
한편 초순입직(初巡立直, 추쉰리즈, chūxúnlìzhí)은 부지입직(不知 立直, 부즈리즈, bùzhīlìzhí), ‘보청(報聽, 바오팅, bào tīng)’ 등으로도 호칭합니다. 영어는 ‘Double Lizhi’ 또는 ‘Anouncing a Ready Hand’입니다.
➐ 쌍절장(雙絕張, 후줴장, hú jué zhāng)
쌍절장은 3판 약인 화절장의 상위 약입니다. 올림패가 두 종류인 양면 대기 팅파이에서 대국자 4인의 츠, 펑을 포함해 하(河)에 버려진 모든 패들 중 한 종류의 올림패 4개는 이미 공개됐고(사라졌고) 다른 한 종류의 패도 3개가 공개된 상태에서 마지막 남은 4번째의 패를 가져와 화료한 경우입니다. 팅파이의 형태로 볼 때 올림패가 2종 8개지만 실제는 단 1개밖에 없는 상태에서 화료한 것입니다.
화절장처럼 쌍절장도 먼첸이 깨져도 성립하고 쯔모허, 룽허 모두 인정됩니다. 하지만 안깡 후 영상패 또는 창깡으로 화료한 경우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쌍절장은 하위 약인 화절장 판수는 계산하지 않습니다. 화절장은 영어로 ‘Double Jeopardy’라고 합니다.
➑ 대대화(對對和) / 팽팽화(碰碰和)
대대화는 4개의 몐쯔를 모두 커쯔 또는 강쯔로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우리나라 3작마작의 ‘또이또이’로 이론상으로는 밍커, 안커, 안깡, 바깥깡이 골고루 섞인 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대화(對對和, 두이두이허, duìduìhé)는 팽팽화(碰碰和, 펑펑허, pèngpèng hé)라고도 합니다. 영어는 ‘All Triplets’입니다.

➒ 혼일색(混一色, 훈이써, hùn yī sè)
한 종류의 수패와 자패로만 구성된 약입니다.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성립합니다. 영어는 ‘One suit and Honors’로 호칭합니다.

➓ 삼암각(三暗刻, 싼안커, sān àn kè)
안커 3개 조를 가지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나머지 1개의 몐쯔는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영어는 ‘Three Concealed Pungs’라고 합니다.
⓫ 반구인(半求人, 반추런, bànqiúrén)
모든 몐쯔를 (타가의 버리는 패를 가져오는) ‘부로(副露)’로 만든 상태에서 즉, 4회의 츠 또는 펑/깡을 한 상태에서 쯔모로 화료하는 경우입니다. 룽허의 경우는 상위 약인 10판의 ‘전구인(全求人)’입니다. 형태상 당연히 머리를 만들면서 화료하기 때문에 단치팅 판수 2판이 추가됩니다. 영어는 ‘Semi Melded Hand’ 또는 ‘Semi Self Sufficient’입니다.

6. 10판 약
❶ 전구인(全求人, 취안추런, quán qiúrén)
모든 몐쯔를 (타가의 버리는 패를 가져오는) ‘부로(副露)’로 만든 상태에서 즉, 4회의 츠 또는 펑/깡을 한 상태에서 타가의 버림패로 화료(룽허)하는 경우입니다. 형태상 당연히 머리를 만들면서 화료하기 때문에 단치팅 판수 2판이 추가됩니다. 영어로는 ‘Melded Hand’ 또는 ‘Total Dependency’라고 합니다.

❷ 순전대요(純全帶么, 춘취안다이야오, chún quán dài yao)
머리를 포함한 모든 조합에 노두패(1, 9 수패)가 하나 이상 들어가 있는 약입니다. 츠, 펑/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혼전대요의 상위 약이고 리치마작의 ‘준짱’과 같은 약입니다. 영어는 ‘Pure Lesser Terminals’입니다.

7. 15판 약
❶ 칠대자(七對子, 치두이쯔, qīduì‧zi)
몐쯔 없이 7개 조의 대자(對子) 즉, 7개의 두이쯔를 만든 경우입니다. 최고 난이도의 약인 ‘국사무쌍’과 함께 머리 1조, 몐쯔 4개 조로 구성되는 마작의 원칙을 벗어난 예외적인 형태의 약입니다.
안깡은 2+2를 인정해 칠대자가 성립하지만 바깥깡은 칠대자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귀일의 경우도 화료 시 칠대자와 같은 모양이 나와도 칠대자와는 조합의 이치가 다르기 때문에 칠대자 판수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칠대자는 ‘치대(七對子)’라고도 하고 영어는 ‘Seven pairs’입니다.

❷ 삼공자(三槓子, 싼강쯔, sān gàng zi)
깡을 3회 선언하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안깡은 선언하지 않아도 1회의 깡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몐쯔는 츠 또는 펑을 해도 인정됩니다. 영어는 ‘Three Kongs’입니다.

❸ 대삼풍(大三風, 다싼펑, dà sānfēng)
동남서북 바람패로 몐쯔 3개 조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펑 또는 깡을 해도 인정됩니다. 대삼풍은 2판 약인 장풍패 또는 자풍패와 겹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단, 일부 지역에서는 소삼풍과 마찬가지로 대삼풍을 정식 약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삼풍은 ‘삼풍회(三風會, 싼펑후이, sānfēnghuì)’라고도 하고 영어로는 ‘Big Three Winds’라고 합니다.

8. 20판 약
❶ 소삼원(小三元, 샤오싼위안, xiăo sānyuán)
中發白 삼원패로 하나의 머리와 2개 조의 커쯔(또는 깡쯔)를 만들고 화료한 약입니다. 모든 조합에 츠 또는 펑/깡 가능합니다. 영어는 ‘Little Three Dragons’입니다.

❷ 삼색쌍룡회(三色雙龍會, 싼써 솽룽후이, sānsè shuānglónghuì)
노소부(老少副)의 상위 약으로 먼첸 상태에서 두 종류의 수패로 ‘1 2 3’, ‘7 8 9’의 순쯔를 각각 만들고 나머지 수패 5로 머리를 만들고 화료한 경우입니다. ‘삼색’은 세 가지 수패를 모두 모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화료 시 하위 약인 노소부 판수는 합산하지 않습니다. 영어로는 ‘Three-suited Terminal Chows’입니다.

9. 40판 약
❶ 양반고(兩般高, 량반가오, liǎngbān gāo)
먼첸 상태에서 동일한 순쯔 2개 조 즉, 일반고(一般高) 2개를 만들고 화료한 약입니다. 화료 시 형태가 칠대자와 같은 모양이지만 순쯔의 조합이기 때문에 칠대자의 판수는 합산하지 않습니다. 양반고는 일본 리치마작의 ‘량페코’와 같은 약입니다. 영어로는 ‘Twice Pure Double Chows’라고 합니다.

❷ 청일색(清一色, 칭이써, qīngyísè)
오직 한 종류의 수패로 머리와 4개의 몐쯔를 조합한 약입니다. 츠 또는 펑/깡을 해도 성립합니다. 영어는 ‘One suit only’입니다.
마치며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대 상해마작의 약은 그 숫자가 과거 클래식 마작에 비해 대폭 증가했습니다. 다음 강에서는 마지막 남은 최고 난이도의 약들을 소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