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마작 제11강 <상해마작의 약 Ⅰ >
상해마작의 약(約, 웨, yuē)
마작은 화료시 패의 조합이 매우 다양하게 생성됩니다. 그중에서 만들기가 어려운 특별한 패들의 조합을 ‘약’이라고 합니다. 약은 조합들의 난이도에 따라 그 점수(판수)가 단계적으로 높아집니다. 이러한 약의 단위를 ‘번(番, 판, fān)’이라고 합니다.
상해마작은 1판 약에서 시작해 최상위 5판의 ‘만관(滿貫/滿款, 만관, mǎnguàn)’ 약까지 다양한 약들이 있습니다. 상해마작은 각자 1,000점 혹은 2,000점의 기본 점수를 가지고 시작하는데 만관이 나온 경우 최대한도를 그 기본 점수로 정하는 게 일반적인 규칙입니다. 단, 중간에 누군가의 점수가 마이너스가 돼도 북4국까지 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최대한도를 정하지 않고 모든 약과 점수를 철저히 계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6판만 되도 다시 총 점수의 2배를 곱하기 때문에 그 합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가능하면 5판을 최대한도로 정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합리적입니다.
만관 약들 중에서도 ‘구련보등’ 등 난이도가 가장 높은 몇 가지를 특별히 ‘대만관(大滿貫, 다만관, dàmǎnguàn)’ 또는 ‘역만관(役滿貫, 이만관, yìmǎnguàn)’이라고 합니다. 대만관으로 인정하는 약은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른데 ‘구련보등’, ‘대사희’, ‘국사무쌍’, ‘자일색’ 등을 보통 첫손에 꼽습니다.
아울러 만관 약이 두세 가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대만관으로 인정합니다. 대부분은 대만관 역시 만관의 최대한도를 적용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지역에 따라 만관 하나를 각각 5판으로 계산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만관이 두 개면 10판입니다.
혼란을 방지하려면 대만관의 종류와 최대한도의 점수를 사전에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만관의 종류, 점수 등 지역마다 다른 규정을 ‘로컬룰(Local Rule)’ 또는 ‘하우스룰(House Rule)’이라고 하는데 상해마작에는 수없이 많은 로컬룰이 존재합니다.
클래식 상해마작에서는 이러한 약과 더불어 용의 머리와 몸에 해당하는 개개의 조합도 약속된 형태를 만드는 경우 기본 점수를 줍니다. 이 기본 점수를 ‘분수(分數, 펀수, fēnshù)’라고 하고 단위로 쓸 때는 분(分, 펀, fèn)을 사용합니다.
상해마작이 특이한 것은 승자는 물론 패배한 사람들에게도 그들의 분수와 약을 인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승자가 패자(패자들)에게 화료에 따른 점수를 받는 것은 물론 패자들끼리도 서로 점수를 정산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점수 계산을 다루는 강에서 자세히 언급할 예정입니다.
18세기 중후반 상해마작의 약은 그렇게 많지 않았습니다. 분수를 제외하면 1판에서 4판까지의 약의 숫자가 만관 약들보다 오히려 적은 정도였습니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너무 단출해 허술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자체적으로 또는 후발주자인 광동마작, 홍콩마작, 북경마작 등의 영향으로 1판 약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약들이 하나둘씩 편입되면서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상해마작의 약과 점수 계산 방법은 지역에 따라 크고 작은 차이가 있습니다. 클래식 상해마작의 명맥을 잇고 있는 유럽의 경우도 사정은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느 것이 전통이고 정통이라고 확정해서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이 강의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상해마작의 약을 구분하고 가급적 체계적으로 정리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만 그 선택과 적용은 마작을 하는 당사자들에게 달려있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지금부터 마작의 살아 있는 화석, 상해마작의 약의 세계로 들어갑니다.
❶ 모든 대국자의 기본 점수, 분수(分數, 펀수, fēnshù)
상해마작의 기본 점수는 화료한 사람은 물론 대국을 한 모든 사람들이 받는 공통 점수(點數)입니다. 이 점수를 중국에서는 ‘분수(分數, 펀수, fēnshù)’라고 하고 단위로 쓸 때는 분(分, 펀, fèn)을 사용합니다. 영어는 ‘Point’입니다.
분수는 꽃패의 유무, 머리와 몸의 조합 형태, 먼첸 상태 유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언뜻 보면 복잡한 것 같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리만 알고 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커쯔와 깡쯔는 무조건 분수를 받을 수 있다.
- 중장패보다 노두패(老頭牌)의 분수가 높다.
- 펑보다 깡의 분수가 높다
- 자패는 3개 이상을 가진 경우 무조건 분수를 받는다.
- 장풍패(場風牌), 자풍패(自風牌), 삼원패(三元牌)의 두이쯔(對子) 분수는 화료한 사람은 무조건 받고 나머지 사람들은 먼첸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다.

위의 표처럼 모든 화패(花牌)는 각각 4분씩의 분수를 받고 커쯔와 강쯔는 요구패(1, 9 수패 및 자패)거나 안커 또는 안깡을 유지할 시 더 높은 분수를 받습니다. 자풍과 장풍은 대국마다 패가 달라지니 특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❷ 모든 대국자의 약
상해마작에서는 승자는 물론 패자들도 약을 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번(番)’을 받게 됩니다. 패자의 약은 사실은 미완성 약입니다. 번은 중국어로 ‘판’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Double’이라고 합니다. 상해마작에서 판은 점수 계산시 모든 분수를 더한 점수를 ‘2배로 곱하는’ 역할을 합니다. 1판은 2배, 2판은 4배(22), 3판은 8배(23), 4판은 16배(24), 5판(만관)은 32배(25)를 곱하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해 상해마작의 점수 계산은 [분수 + 분수 … +분수 = 소계 × 2(1판) = 합계] 이런 식으로 합니다. 2판 약을 했으면 ‘소계 × 4’, 3판 약이면 ‘소계 × 8’입니다. 먼첸을 유지하고 삼원패 커쯔(8분)와 방향패 깡쯔(32분)를 가지고 2판 약을 했으면 총 분수는 40분, 2판 약은 4배수이기 때문에 ‘40분 × 4 = 160점’이 됩니다.
상해마작에서는 파격적으로 꽃패와 계절패 중에서 단 하나의 패가 상황에 따라 1판 약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풍처럼 자신에게 해당하는 화패(花牌)가 들어온 경우입니다. 화패는 꽃패 梅蘭菊竹, 계절패 春夏秋冬 순으로 각각 아라비아 숫자 ‘1, 2, 3, 4’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 숫자들은 각각 ‘동남서북’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동가가 1에 해당하는 꽃패 ‘춘’과 계절패 ‘매’를 가진 경우 각각 1판 약을 한 것입니다. 남가, 서가, 북가도 마찬가지입니다. 북가가 4에 해당하는 ‘동’과 ‘죽’ 화패를 가지고 있으면 각각 1판 약을 한 것입니다.
이처럼 화패는 약을 쉽게 만들어 점수를 대폭 상승하게 하는 기폭제가 되기도 합니다. 이것이 사람에 따라 대국에서 꽃패를 제외하는 이유입니다. 실력보다는 운에 좌우되는 것을 싫어해도 꽃패를 제외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화패가 있는 것이 더 재미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아래의 표에서 ‘현재’ 판수는 현재 상해마작이 아닌 현재 유럽 클래식 마작의 판수를 가리킵니다.

화패처럼 비교적 만들기 쉬운 1판 약 중에 ‘번패(翻牌, 판파이, fānpái)’ 3종이 있습니다. 번패는 삼원패, 장풍패, 자풍패로 같은 패 3개인 커쯔를 만들거나 같은 패 4개인 강쯔를 만든 경우를 말합니다. 번패는 ‘권리패’ 또는 ‘자격패’라고도 합니다. 장풍패는 ‘권풍패(圈風牌)’, 자풍패는 ‘문풍패(門風牌)’라고도 합니다.

다음의 약들 역시 모든 대국자들이 받는 약입니다. 화료한 경우 그 약에 해당하는 판수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상해마작은 화료하지 못했어도 특정한 약의 핵심적인 부분을 조합했으면 그에 따른 보상 차원에서 일정한 판수를 줍니다. 이것 역시 상해마작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점수가 낮은 약의 경우 그 약을 해도 1판, 화료를 못했지만 해당 약의 상징적인 일부만 조합해도 1판이라 언뜻 보면 상당히 불합리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화료할 경우 각종 약들이 수반되기 때문에 최종 점수는 차이가 크게 납니다.
참고로 과거 상해마작의 일부 약들은 현재의 시각에서 보면 너무 판수가 적거나 반대로 너무 판수가 과도하게 큰 경우가 일부 있습니다. 그러나 최종 점수를 계산하면 수긍이 가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으니 예민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에 나오는 ‘소사희’ 등 그런 약들이 몇 가지 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아래의 표들을 보기 전에 몇 가지만 복습하겠습니다. 머리는 작두(雀頭) 또는 차우터우라고 합니다. 몸은 몐쯔라고 하는데 몐쯔를 만드는 방법은 ‘순자(順子, 순쯔),’, ‘각자(刻子, 커쯔)’, ‘공자(槓子, 강쯔)’ 등 세 가지가 있습니다. 순쯔와 커쯔는 3개의 패로, 강쯔는 4개의 패로 조합된 몸을 말합니다.
순쯔는 3연속으로 연결된 한 종류의 수패로 만든 조합을 말합니다. 커쯔는 동일한 수패 3개 또는 동일한 자패 3개의 조합을 지칭합니다. 커쯔에는 ‘명각(明刻, 밍커)’, ‘암각(暗刻, 안커)’ 등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밍커는 펑으로 만든 커쯔를 말하고, 안커는 쯔모로 만든 커쯔를 지칭합니다. 한자로 명(明)이 들어간 용어는 펑 또는 깡을 한 경우고, 암(暗)이 들어간 용어는 츠, 펑/깡 등 ‘부로’를 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강쯔는 암공(暗槓, 안강/안깡)과 명공(明槓, 밍강/밍깡) 등 두 가지가 있습니다. 안깡은 손패와 쯔모로 스스로 만든 4개의 같은 패입니다. 밍깡은 바깥깡이라고도 하는데 타가의 도움을 받아 만든 4개의 같은 패입니다.
밍깡은 다시 대명공(大明槓, 다밍강/다밍깡)과 소명공(小明槓, 샤오밍강/샤오밍깡) 등 2종으로 구분됩니다. 다밍깡은 안커 상태에서 타인의 버림패를 “바깥깡!”을 선언하면서 가지고 와 같은 패 4개를 획득한 경우입니다. 샤오밍깡은 이전에 펑을 한 상태에서 본인의 쯔모 때 펑의 마지막 남은 패를 가지고 와 같은 패 4개를 모은 경우입니다. 펑이 깡으로 진화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東南西北 패를 총칭해 풍패라고 합니다. 풍패는 사희패(四喜牌, 쓰시파이)라고도 합니다.

마치며
다음은 드디어 상해마작의 약들을 소개할 차례입니다. 마작의 약들 중에서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